adult clinic
성인 클리닉
기분장애
클리닉
기분장애 클리닉
우울증/ 조울증:
약물 치료 뿐만 아니라 비약물적 치료(TMS, 심리상담)을 함께한 치료계획을 수립합니다.
우울증 증상
-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감
- 거의 매일 지속되는 흥미 감소
- 불면 혹은 과수면
- 체중 및 식욕 감소, 혹은 증가
- 정신운동 초조 혹은 지연
- 과도한 피로감 혹은 활력의 상실
- 삶에 대한 무가치감, 혹은 과도한 죄책감
-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혹은 우유부단함
- 죽음, 자살에 대한 생각 혹은 계획
-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감
- 거의 매일 지속되는 흥미 감소
- 불면 혹은 과수면
- 체중 및 식욕 감소, 혹은 증가
- 정신운동 초조 혹은 지연
- 과도한 피로감 혹은 활력의 상실
- 삶에 대한 무가치감, 혹은 과도한 죄책감
-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혹은 우유부단함
- 죽음, 자살에 대한 생각 혹은 계획
조울증:
우울 증상과 경조증, 조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문의와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우울증과 감별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불안/
공황장애
불안/공황장애
불안은 정상적인 감정 중의 하나이지만 불안에 압도되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통하여 불안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증상
공황 발작 시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 중 일부가 갑작스럽게 발생합니다.
- 땀이 남
- 손발이나 몸이 떨림
- 숨이 가빠지거나 막힐 듯한 느낌
- 질식할 것 같은 느낌
- 가슴 부위의 통증이나 불쾌감
- 메슥거리거나 속이 불편함
- 두근거림, 심장이 마구 뛰거나 맥박이 빨라지는 느낌
- 어지럽고 휘청거리거나 혹은 실신할 것만 같은 느낌
- 비현실감, 혹은 이인감
- 자제력을 잃거나 미쳐 버릴 것만 같아서 공포스러움
- 죽음에 대한 공포
- 오한이나 몸이 화끈거리는 느낌
- 이상한 감각(손발이 저릿저릿하거나 마비되는 것 같은 느낌)
- 땀이 남
- 손발이나 몸이 떨림
- 숨이 가빠지거나 막힐 듯한 느낌
- 질식할 것 같은 느낌
- 가슴 부위의 통증이나 불쾌감
- 메슥거리거나 속이 불편함
- 두근거림, 심장이 마구 뛰거나 맥박이 빨라지는 느낌
- 어지럽고 휘청거리거나 혹은 실신할 것만 같은 느낌
- 비현실감, 혹은 이인감
- 자제력을 잃거나 미쳐 버릴 것만 같아서 공포스러움
- 죽음에 대한 공포
- 오한이나 몸이 화끈거리는 느낌
- 이상한 감각(손발이 저릿저릿하거나 마비되는 것 같은 느낌)

불면증
불면증은 적절한 환경과 잠잘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으나 2주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잠들기 힘들거나, 야간에 자주 깨거나, 새벽녘에 일어나 잠을 설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불면증은 생활습관 요인, 신체적 요인, 심리적인 요인에서 기인할 수 있어 전문의와 면담을 통해 감별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수면위생교육과 인지행동 치료, 약물 치료를 통해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성인ADHD
ADHD는 뇌 안에서 주의집중 능력을 조절하는 신경전달 물질(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이 불균형하여 발생합니다. 주의집중력과 행동을 통제하는 뇌 부위의 구조 및 기능 변화가 ADHD의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동기 ADHD 환자 2명 중 1명은 성인이 되어도 ADHD의 주요 증세나 전체 진단 기준을 충족시키는 증세를 유지합니다.
성인 ADHD는 자세한 병력청취, 현재 직업적, 사회적, 관계적 기능의 평가 뿐 아니라 CAT, CNSVS, QEEG 를 통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약물 치료 및 인지 행동치료를 통해 ADHD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성인 ADHD 증상
- 집중과 집중 유지의 어려움
- 비조직화와 건망증
- 과도한 집중으로 인해 다른 중요한 일과 시간 개념을 잊어버림.
- 불안정함 혹은 끊임없는 활동
- 충동성
- 감정 조절의 어려움
- 집중과 집중 유지의 어려움
- 비조직화와 건망증
- 과도한 집중으로 인해 다른 중요한 일과 시간 개념을 잊어버림.
- 불안정함 혹은 끊임없는 활동
- 충동성
- 감정 조절의 어려움

기억력저하
노인에서 기억력의 저하는 가성치매,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도인지장애와 언어 능력, 지남력, 판단력 저하, 성격 변화등 다양한 정신 능력의 장애가 동반되는 치매인지 감별이 필요합니다. 병력 청취와 선별 검사, 필요에 따라 신경심리 검사를 통해 초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중독
물질 중독(알코올,약물), 행위 중독( 도박, 게임 , 인터넷, 스마트폰, 음란물) 은 심리적 의존을 동반하며 물질과 행위를 반복하며 중단이 어렵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게 됩니다. 겉으로 드러난 중독 뿐만 아니라 기저에 동반된 우울, 불안, 내적인 갈등을 함께 치료해야 합니다.

산후우울증 /
월경전 /
갱년기 증후군
산후우울증/월경전/
갱년기 증후군
여성은 생애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로 산후, 월경전, 폐경기 호르몬의 변화로 우울감을 겪을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증을 방치하면 아이를 양육하기 어렵고 아이와의 애착관계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약물치료와 수유로 약물치료가 어려울 경우 TMS와 같은 비약물치료를 통해 우울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식이장애
신경성 폭식증
신경성 폭식증은 자신의 몸매와 체중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많은 양의 음식을 먹으며 음식을 먹는 동안 음식 섭취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 질환입니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스스로 구토를 유발하거나, 설사약, 이뇨제를 남용하며, 과도한 운동 등의 극단적인 행동을 합니다. 음식을 먹고자 하는 욕구와 체중 증가를 피하고자 하는 열망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며 폭식 이후 음식을 거부하거나 격렬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감량하려는 행동을 보입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마르기 위해 강박적으로 애쓰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일종의 심리적, 정신적, 사회적 장애로, 먹는 것을 제한하는 섭식 장애입니다. 자신의 체중, 신체 크기, 외모를 왜곡하여 연령과 키에 맞는 최소한의 정상 체중을 유지하기를 거부하며 체중의 증가나 비만에 대해 지나친 두려움을 느낍니다.
